'시인 한다혜와 함께하는 산사순례'
안녕하세요. 시인 한다혜입니다. 우리나라 유명 사찰, 국내 곳곳에 숨어있는 사찰, 비경, 절경, 사연 등이 있는 곳을 찾아다니며 소개해 드리고, '108순례단'을 통해 다녔던 산사순례의 기행을 남기고자 합니다. 글의 말미에는 저의 감상을 시로 남기고 있습니다. 여행 계획이 있으시거나 사찰을 찾으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시인 한다혜
<알림> 저의 소중한 창작물입니다.
게시글을 복사하거나 이미지 도용 또는 무단 복제 사용 행위는 절대 금지하오며
적발 시 엄중 조치 예정이오니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대구 군위군 팔공산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 소개: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에 자리한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軍威阿彌陀如來三尊石窟)**은 대구 팔공산(八公山)의 북쪽 자락에 위치한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석굴사원입니다. 흔히 '제2석굴암' 또는 '삼존석굴'이라 불리며, 통일신라 불교 미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귀중한 유적입니다. 인위적으로 조성된 석굴 내에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한 삼존불이 모셔져 있어, 간결하면서도 웅장한 신라인들의 염원과 예술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천년의 세월을 견딘 석굴 속에서 고요하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어, 불교 문화와 역사에 관심 있는 분들께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방문을 강력히 추천합니다.
- 역사: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은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학계에서는 통일신라 시대인 7세기 중반에서 후반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석굴의 건축 양식과 불상의 조형미가 경주 석굴암보다 앞서는 초기 석굴 형태로 평가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 석굴은 신라 시대 인공 석굴 조성의 효시이자, 이후 석굴암 조성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유적으로 여겨집니다.
- 석굴 조성 당시에는 현재처럼 노출된 형태가 아니었을 것으로 보이며, 석굴 앞에는 목조 전실(前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조선 시대에는 임진왜란(1592년) 등으로 인해 폐허가 되었고, 오랜 세월 잊혀 있다가 1927년에 현재의 모습이 발견되었습니다. 발견 당시에는 석굴이 흙 속에 묻혀 있었으며, 불상들도 훼손된 상태였습니다. 이후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고, 1970년대에 석굴 주변을 정비하고 보호각을 건립하는 등의 보수 과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 이 석굴은 특히 석굴 내부의 구조와 불상의 배치, 그리고 조각 수법이 독특하여 신라 불교 미술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단순하면서도 강건한 불상의 모습은 초기 통일신라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며, 석굴 자체의 건축적 의미 또한 매우 큽니다.




- 위치: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은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 3에 위치해 있습니다. 팔공산의 북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며, 대구광역시 및 군위 시내에서 접근성이 좋습니다.
- 대중교통: 대구 북부정류장에서 군위행 버스를 이용, 군위터미널에서 하차 후 부계 방면 버스로 환승하여 접근할 수 있습니다. 다만 대중교통만으로는 접근이 다소 어렵기 때문에 자가용 이용이 권장됩니다.
- 자가용: 팔공산 터널(부계방면)을 지나 석굴암으로 진입하는 안내 표지를 따라 이동하면 됩니다. 석굴 입구에 넓지 않지만 주차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 1477
[특징]
- 한국 석굴사원의 원류: 경주 석굴암보다 이른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한국 인공 석굴의 초기 형태와 기술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유적입니다.
- 간결하면서도 웅장한 불상: 아미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관음보살, 대세지보살)이 배치되어 있으며, 단순하면서도 힘 있는 조각 양식이 특징입니다.
- 독특한 석굴 구조: 자연 암석을 활용하여 인위적으로 다듬어 조성한 석굴로, 내부 공간의 조화로움과 안정감이 돋보입니다.
- 신비로운 분위기: 고요하고 어두운 석굴 내부에 비치는 빛과 어우러져 신비롭고 경건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 통일신라 불교 미술의 보고: 불상들의 사실적이면서도 이상적인 표현은 통일신라 초기 불교 미술의 높은 수준을 보여줍니다.




[주요 문화재]
-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국보 제109호): 석굴 자체와 내부에 봉안된 아미타여래좌상, 관음보살좌상, 대세지보살좌상을 모두 포함하는 명칭입니다.
- 아미타여래좌상: 석굴의 중심에 모셔진 주존불로, 항마촉지인의 손 모양을 하고 있으며, 굳건하고 당당한 모습이 특징입니다. 통일신라 초기 불상의 전형을 보여줍니다.
- 관음보살좌상: 주존불의 왼쪽에 협시한 보살상으로, 부드러운 표정과 사실적인 옷 주름 표현이 돋보입니다.
- 대세지보살좌상: 주존불의 오른쪽에 협시한 보살상으로, 역시 안정감 있는 자세와 섬세한 조각이 특징입니다.




[사찰 내부 탐방]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탐방은 다소 가파른 길을 오르면서 시작됩니다. 석굴 입구에 다다르면 보호각 안에 자리한 석굴의 모습을 마주하게 됩니다. 석굴은 인위적으로 다듬은 화강암 벽에 삼존불이 모셔져 있습니다. 어둠이 드리워진 석굴 내부에 들어서면 중앙의 아미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의 관음보살좌상과 대세지보살좌상이 고요하면서도 압도적인 존재감을 드러냅니다.
불상들은 각각의 특징을 잘 살리면서도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신라 장인들의 뛰어난 조각 솜씨를 엿볼 수 있습니다. 석굴 내부의 서늘한 공기와 정숙함 속에서 불상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천년이 넘는 세월 동안 변함없이 한국 불교의 역사를 지켜온 그들의 숭고한 정신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고요한 분위기 속에서 잠시 명상하며 마음의 평화를 찾아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입니다.




[주변 관광지]
- 팔공산 도립공원: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을 품고 있는 팔공산은 다양한 등산 코스와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합니다.
- 인각사: 삼국유사를 저술한 일연 스님이 주석했던 곳으로 유명한 사찰입니다.
- 한밤마을: 돌담길이 아름다운 전통 마을로, 고즈넉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기타 정보]
- 입장료: 무료
- 주차료: 무료
- 문의: 군위군청 문화체육관광과 (054-380-6062)
[마무리 및 개인적인 소감]
경북 군위 팔공산 자락에 숨어있는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은 한국 석굴사원의 원류이자 통일신라 불교 미술의 보고입니다. 경주 석굴암보다 이른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석굴은, 간결하면서도 웅장한 삼존불과 함께 신라 장인들의 빼어난 기술과 깊은 신앙심을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고요하고 신비로운 석굴 내부에서 천년의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 듯한 경이로움을 느낄 수 있었으며, 이는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춰 서서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귀한 시간이었습니다. 한국 불교의 역사와 예술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방문하여 그 숭고한 아름다움을 직접 경험해보시길 강력히 추천합니다. 이곳에서 만나는 모든 순간이 특별한 추억으로 남을 것입니다.

<알림> 저의 소중한 창작물입니다.
게시글을 복사하거나 이미지 도용 또는 무단 복제 사용 행위는 절대 금지하오며
적발 시 엄중 조치 예정이오니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시인 한다혜 #연화향 불상
연화향 불상
녹음 속 부처님이 법당에서 부르시네
남쪽땅 물마른데 네 가슴을 왜 파냐고
연화향 밝은 미소에 애면글면 내려놓다
송백 한다혜
[태그]
#팔공산아미타여래삼존석굴 #한국사찰 #아미타여래삼존석굴 #사찰순례 #템플스테이 #불교 #여행 #한국여행 #군위아미타여래삼존석굴 #사찰탐방 #자연과함께 #평화로운여행 #전통문화 #대구 #군위군 #팔공산 #사찰여행 #대구여행 #시인 #시인한다혜 #시와사찰 #108순례 #108순례단 #대한민국명사찰 #유명사찰 #가볼만한절 #가볼만한사찰 #시와함께 #등산 #은해사108순례단 #군위여행 #팔공산등산 #등산 #산사순례 #불교
'시인 한다혜와 함께하는 사찰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사찰 기행] #72 경북 영천 '거조사' (0) | 2025.07.16 |
---|---|
[대한민국 사찰 기행] #71 대구 군위군 '인각사' (0) | 2025.07.16 |
[대한민국 사찰 기행] #69 전북 김제 '금산사' (0) | 2025.07.13 |
[대한민국 사찰 기행] #68 대구 동구 '동화사' (0) | 2025.07.12 |
[대한민국 사찰 기행] #67 대구 동구 '파계사 (0) | 2025.07.12 |